안녕하세요.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20대 경이입니다.
오늘은 1분 귀찮고 100만원 이상 절약하는 방법, 절약 꿀팁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해요.
돈관리를 잘하고 싶으신데 잘 안된다고요?
넘쳐나는 카드값이 감당이 안된다고요?
지출비용을 줄이고 싶은데 힘드시다고요?
그럼 오늘 포스팅 주의깊게 읽어주세요.
<목차>
01. 신용카드 체크카드 처럼 쓰는법
02. 경유어플
03. 네이버포인트
04. 연간비
05. 심리급여
01. 신용카드 체크카드 처럼 쓰는법
간단합니다.
신용카드를 결제할때마다 체크카드 쓰는 것처럼 돈을 이체 후 선결제 하면 됩니다.
아니?
이런것도 꿀팁이라고?ㅋㅋㅋㅋ
네. 꿀팁입니다.
1분 이체하는게 귀찮지만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지출을 관리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제가 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준비물 : 생활비 통장, 카드결제 통장
1. 생활비 통장에 월간 생활비를 넣습니다. (ex 30만원)
2. 신용카드 사용시 생활비 통장 -> 카드 결제 통장으로 돈을 이체합니다.
3. 신용카드 선결제 합니다.
위 방법을 사용하시면 신용카드도 체크카드 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너무 간단하다고요?
그럼 한번 시도해보세요!
02. 경유어플
말그대로 결제를 위해 한번 더 경유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당신은 텀블러를 구매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최저가가 지마켓입니다.
그래서 지마켓에서 텀블러를 결제합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선 포인트가 적립되지 않죠.
이때 경유어플을 사용한다면?
OK Cashbag 또는 페이코 둘다 지마켓시 0.5% 적립입니다.
해당 어플에 들어가셔서 쇼핑/적립 -> 지마켓 -> 결제시
당신은 0.5% 포인트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당신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경유어플은 OK Cashbag과 페이코 입니다.
둘 다 다운로드 받으셔서 사용처를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중복되는 것은 적립률을 비교해 보세요.
03. 네이버포인트
인터넷으로 물건 구매 하실때 어디서 많이 사시나요?
티몬?
지마켓?
옥션?
저 세곳 모두 너무 좋은 쇼핑몰이지만 저는 네이버쇼핑을 자주합니다.
특히 구매시 적립되는 포인트가 쏠쏠해서 너무 좋은데요.
혹시 구매후 구매확정 누르셨나요?
잘하셨어요.!
혹시 구매후 구매평은 남기셨나요?
남기셨다구요! 잘하셨어요!! 재테크 좀 할 줄아시는데요?
그렇다면 한달 구매평은 남기셨나요?
아.. 이건 깜빡하셨다구요?
<과정>
쇼핑 결제 -> 구매확정 -> 구매평 -> 한달구매평
네이버쇼핑에서 물건을 구매하시는 분들이라면 구매평을 적극 활용해보세요.
04. 연간비
1년에 지출 되는 비용(이벤트)들을 연간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추석이나 설날, 생신에 부모님을 뵈러가 가면 용돈도 드리죠.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자동차세도 내야 하죠.
집을 보유하고 있다면 재산세도 내야 하죠.
여름휴가나 겨울휴가등 휴가도 떠나야 하죠.
이런 금액들은 연간비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런 금액은 통장에 이름을 붙여 미리 마련합니다.
2021년을 대비하기 위해, 2020년에 미리 연간비를 준비하는 것이죠.
그럼 어떻게 준비하느냐?
1. 매일 소액을 꾸준히 적금한다.
2. 1년 단위의 정기 예금을 가입한다.
3. 매월 정기예금을 적금처럼 든다. (매월마다 정기예금을 가입하시면 됩니다.)
위에 방법 중 원하시는 방법으로 하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지금 사용가능한 현금이 꽤 있다. => 1년 단위의 정기 예금을 가입한다.
사용가능한 현금이 적고 매월조금씩 저축하고 싶다 => 1년 정기 적금 또는 매월 정기예금을 적금처럼 든다.
05. 심리급여
말 그대로 심리급여입니다. 나의 한달 급여를 내가 정하는거에요.
이방법은 직장인들 보단 월수입이 매번 달라지는 프리랜서 분들에게 적합한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프리랜서 A씨는 매월 받는 급여가 다릅니다.
1월에는 200만원, 2월에는 50만원, 3월에는 100만원.
그래서 돈이 많은 날에는 펑펑 쓰다가도
돈이 적게 들어오면 카드값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프리랜서 A씨는 어떻게 돈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요?
바로 심리급여를 이용하면 됩니다.
자신의 급여를 자신이 정하면 됩니다.
프리랜서 A씨가 자신의 월급을 100만원이라고 설정했다고 가정할게요.
그럼 1월에는 나머지 100만원을 저수지통장에 넣어두고 생활합니다.
2월에는 50만원이 부족하죠?
저수지 통장에서 50만원을 가져와 100만원으로 생활합니다.
그리고 3월에는 100만원이 수입이 들어오니 그대로 생활하면 되겠네요.
이럴 경우 프리랜서 A씨는 안정적으로 돈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저수지 통장은 저같은 경우 파킹통장을 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본인이 편리한 것에 따라 입출금통장, 파킹통장, CMA통장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하시면 됩니다.
오늘 설명해드린 내용은 엠찌 작가님의 "나는 앱테크로 기적을 만들었다." 책을 참조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저번 앱테크 포스팅에서도 인상깊은 구절 설명해드렸죠.
그만큼 영향을 많이 받은 재테크 책이니 여러분들도 한번쯤 읽어보시길 권장해드려요.
감사합니다. :)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고 있는돈 입출금통장에 있는거아니죠? CMA 통장에 넣어요! (0) | 2021.11.21 |
---|---|
목적 없는 돈모으기는 쓸모 없다. (0) | 2021.11.20 |
3시간 일하고 1200원, 앱테크 하실래요? (1) | 2021.11.18 |
삼성전자주식 41100원에 90만원손해보고 매도한 바보가 있다고? - 주식망하고싶으면 클릭하지 마세요. (1) | 2021.11.17 |
쫄보 부린이 소장님과 첫 대화에서 의심받은 썰 (0) | 2021.11.16 |